CLOUD VILLAGE

단절되고 혼잡한 도시조직을 해체하고 
부드럽고 유연한 도시조직을 이식하다.


기존 도시의 직교체계와 대비를 통해 
도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독특한 감각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신내 컴팩트시티 국제설계공모  l  북부간선도로 입체화사업

입상작

도시와의 연계

신내 IC 일대 마스터플랜은 기존의 획일적이고 딱딱한 직교 체계의 도시 조직 속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새로운 도시 조직을 이식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도시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생활형 SOC와 행복주택이 들어서는 컴팩트시티의 구성원리도 마스터플랜의 구성원리를 따릅니다. 대지를 분할하는 곡선의 규준선은 원형의 생활형 SOC 프로그램들로 구성되고 직교체계의 행복주택과 오버랩되어 

마스터플랜에서 의도되었던 새로운 감각적 경험이 단지 내에서도 이어지도록 계획하였습니다.

수직주거에서 수평주거로

유니크한 생활 공유가로 만들기

스쳐만 지나갔던 낯선 사람들과 마주치던 불안정한 복도 공간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가로에서는 다양한 크기와 성격의 마당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다층적, 다면적 공간 관계를 형성하며 개인의 선택과 결정에 따라 예상치
못한 길을 걸으며 이웃과의 우연한 만남을 통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소통하며 마을을 만들어 내는 풍경이 됩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기존 문제를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고 혁신적인 주거형태를 통해서 대지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해야 합니다.

Project Manager, 이원재

유니크한 생활 공유가로 만들기

새롭게 조성되는 신내 컴팩트시티는 주거, 직장, 상업, 서비스 등의 도시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컴팩트시티의 개념을 충실히 구현하면서 기반시설의 입체화를 통해 훼손되고 보전가치가 낮은 개발제한구역을 새로운 도시공간으로 재창조합니다.

생활 SOC와 행복주택이 들어서는 입체화된 대지는 단절되고 고립된 도시지역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마스터플랜 계획으로 대지 서쪽과 남쪽의 문화체육시설과 첨단산업단지와 연계되는 도시 네트워크의 허브로 작동하여 도시공간의 연계와 자족기능을 확보하게 됩니다.

전시관
중랑구 문화시설의 개소는 정책적 기준에 미치지 못하여 서울시 대비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입니다.

단지 내에 전시관을 배치하여 청소년들의 표현 공간과 지역 주민들의 문화 공간을 조성합니다.

아동복지센터
행복주택 및 인근 신내지구를 연결하여 가까이 있는 SOC를 아이와 함께 즐기는 공간으로 만들어줍니다.

아동복지센터 내 모임을 통해 부모들간의 아이키움과 돌봄체계 구축으로 네트워크 허브를 

더욱 체계화 시킵니다.

코워킹스페이스
코워킹 스페이스는 마을 단위부터 작은 모임까지 시간과 대상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도서관

신내지구와 먼 거리에 위치해 있어, 주민들의 필요 요구시설인 도서관입니다.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키움 네트워크와 연결하며 생활밀착형 지식정보(진로, 취업,

건강 정보 등)를 제공하며, 상담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합니다.

어린이집

서울특별시 대비 부족한 시설로서 신혼부부 입주자들의 걱정없는 육아와 돌봄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인근 아동복지센터, 놀이터를 연결하여 아이키움과 돌봄체계 구축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네트워크
허브를 조성합니다.

행림건축의 더 많은 프로젝트를 확인해보세요


                       바로가기                      

Ulsan Metropolitan Library ㅣ 울산도서관

                        바로가기                     

2nd HQ of Health Insurance Review Assessment Service ㅣ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사옥

                         바로가기                    

Pohang 4th Generation Light Sourceㅣ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

Ulsan Metropolitan Library     >